기준금리, 예금과 대출 이자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. 기준금리가 오르면, 예금과 대출 이자도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단순화해서 보자면, 금리 낮을수록 예·적금 대신 대출 받아 집이나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이 늘겠죠. <br /> <br />앞서 김현미 전 국토부 장관, '저금리'를 집값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꼽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현미 / 前 국토부 장관(지난해 10월) : 9·13대책 이후에 19년도 초반까지 굉장히 시장이 안정적이고 일부 지역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19년 중반에 다시 금리가 인하되면서 흐름이 다시 상승으로 전환되는 게 있었고요.] <br /> <br />이 기준금리를 한국은행이 0.5에서 0.75%로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돈 풀기, 이른바 '유동성 파티'의 마감 전조가 아니냐는 점에서 시장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국내 기준금리, 지난 2008년 8월엔 5.25%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미국발 경제위기가 본격화하면서 반년 사이 2%까지 대폭 낮췄습니다. 시장에 돈이 돌게 해서 경제위기 영향을 최대한 줄이려 한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지난 2015년 처음으로 1%대에 진입했고, 코로나19 사태 이후인 지난해 3월에는 0.75%, 같은 해 5월에는 0.5%까지 낮췄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인상, 지난 2018년 11월 이후 2년 9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집값, 증시와 같은 실물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관심이 큰데요. <br /> <br />고승범 금융위원장 후보자,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보면 금통위원 신분으로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"자산 시장 과다한 가격 상승 기대를 소폭의 금리 인상으로 대처하기 어려울 거라는 지적도 제기되지만, 통화정책 시그널링 효과 정도는 기대한다" <br /> <br />'이제 금리가 오르겠구나'란 인식으로 더 거품이 끼는 건 막지 않겠느냐는 의미입니다. 앞으로의 추가 금리 조정 폭, 여기에 실효성 있는 주택 공급까지 변수가 있겠지만요. <br /> <br />앞서 홍남기 부총리 역시 금리 인상과 주택 가격 조정 가능성을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(지난달 28일) : 금리 인상 가능성, 유동성에 대한 관리 가능성이라든가 그 이외의 대내외적 환경 등을 판단해볼 때 주택가격은 일정 부분 조정의 여지가 있지 않는가…. 저는 시장의 예측보다는 좀 더 큰 폭으로 (가격 조정이) 나타날 수도 있겠다는 예상을 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초저금리 속, '동학개미'란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증시도 호황을 누렸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광렬 (parkkr08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82613331853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